국판 (148*210mm) ㅣ 184쪽 ㅣ 값 8,500원 ㅣ 바람의아이들 펴냄
ISBN 978-89-90878-81-6 ㅣ2009년 9월 20일
나는 조선의 가수다
동화의 새로운 접근을 보여 주는『나는 조선의 가수』
『나는 조선의 가수』는 어린 소녀가 진정한 예술가의 길을 걷게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종의 예술가 소설로, 현시대를 배경으로 한 생활동화가 주를 이루는 어린이문학에 새로운 청량제가 될 것이다.
어린이 책에서는 찾기 힘든 근대라는 배경과 예술가의 삶. 가수의 꿈을 향해 무조건 도전하고 앞으로 향해 나가는 연실을 통해 독자는 혹독한 예술가의 삶과 빼앗긴 자유를 예술 행위로 찾으려는 인간의 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귀에 들리고 눈으로 보는 듯한 감칠맛 나는 대사와 노랫말, 작가 하은경의 창작에 기름칠하듯 살짝 드러나는 초기 우리나라의 가요사는 현장감을 살리며 1937년, 식민지 도시 경성으로 독자를 훌쩍 데리고 간다.
첫 번째 꿈, 가수가 되고 싶어요!
요즘,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연예인은 선망의 대상이다. 그런데 연예인이라는 것은 언제부터 생겨나게 되었을까? 오늘날에 새롭게 나타나는 현상일까? 아니다. 요즘 아이들이 꿈꾸듯, 일제 시대의 분위기 속에서도 가수의 꿈을 이루기 위해 고향을 떠나 낯선 곳에서 연습생 생활을 시작한 열다섯 살 소녀 연실이. 일제 시대에 연예인? 까마득한 고릿적으로 느껴지거나, 나라 분위기에 가능할까 싶지만 그때도 엄연히 가수를 꿈꾸는 십대 소녀가 있었다. 이른바 극단 연습생으로 말이다.
광주 노래경연대회에 나가 1등을 할 만큼 자타공인 가수인 연실은 어머니 대신 살림하고 배고픈 동생들을 돌보느라 앞날이 캄캄하다. 매일매일 이장댁 유성기에서 흘러나오는 가요를 듣는 게 낙이라면 낙일까. 그러던 어느 날, 집안일을 나몰라라 한다는 이유로 어머니한테 매를 맞고는 경성으로 무단 가출을 감행한다. 어머니가 숨겨 둔 돈까지 훔쳐 냈으니 이제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는 없는 일, 연실은 어렵사리 경성악극단에 연습생으로 들어가서 극단 생활을 시작한다. 그리고 무대 위에 선다는 것, 관객 앞에서 연기와 노래를 한다는 것, 다른 사람들을 울고 웃게 만든다는 것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차츰 깨닫게 된다. 단순히 노래 부르기를 즐기는 데서 노래를 통해 더 나은 삶을 꿈꾸는 경지로 나아가는 것이다.
두 번째 꿈,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싶어요!
연실은 선배 은심의 노여움을 사 시달리기도 하고, 우연히 비게 된 향단이 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