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판 (148*210mm) ㅣ 96쪽 ㅣ 값 7,800원 ㅣ 바람의아이들 펴냄
ISBN 978-89-94475-12-7 ㅣ2011년 3월 30일
거지 소녀
너무나 흔하지만, 결코 뻔하지 않은 이야기
한 소녀가 있다. 가난하고 볼품없는 소녀. 다른 아이들한테는 다 있는데 소녀한테는 없는 게 너무나 많다. 아빠, 단짝 여자친구, 전 과목 학원비, 치마 안에 입을 레깅스, 도서관 대출증……. 대신 다른 아이들한테는 없는데 소녀한테만 있는 것들도 많다. 우울증에 걸린 엄마, 가출한 언니, 부끄럼 타는 병, 따돌림을 당할 때 취해야 할 태도 같은 것들. 물론, 무척이나 흔한 이야기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무척이나 슬픈 이야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가 이 이야기에 귀 기울여야 하는 까닭은 그것이 슬프기 때문이 아니라 흔하기 때문이다.
『거지 소녀』의 해민이는 모든 가난한 여자애들이 그렇듯 아쉬운 게 많지만 그럭저럭 잘 지내고 있다. 학원에 다니지는 못해도 공짜인 ‘은행나무 공부방’에 다닐 수 있으니까. 해민이 언니 해주도 마찬가지다. 제대로 그림을 배울 수도 없고 매일 광고지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어깨가 아프지만 큰 불만은 없다. 하긴, 불만이 있다 한들 해결 방법도 없다. 그러던 어느 날, 은행나무 공부방을 찾아온 방송국 사람들이 언니에게 묻는다. 미술학원도 가고 개인 레슨도 받고 싶겠네요? 대학에 갈 건가요? 집안 사정 때문에 힘들죠? 마침내 언니는 울음을 터뜨리고, 중3짜리 가난한 여자애의 슬픈 얼굴은 화면 가득 클로즈업되어 방송에 나간다.
그때부터 모든 게 틀어지기 시작한다. 얼굴 없는 후원자, 매달 들어오는 후원금, 한몫 벌어보려는 엄마, 상처 입은 언니. 급기야 엄마가 다시 술을 마시고, 꾀병으로 병원에 입원까지 하자 언니는 가출을 하고 만다. 언니가 떠난 뒤, 후원자가 찾아와 공부방 선생님에게 말한다. “어렸을 적 제 꿈은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거였어요. 이젠 어려운 사람들이라면 진절머리가 나요. 아름다운 꿈 같은 건 이루어지지 않나 봐요.” 정말 아름다운 꿈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일까? 아니, 아름다운 꿈 같은 게 존재하기는 하는 걸까?
정말 아름다운 꿈, 자존심
언니가 떠난 뒤, 해민이는 언니를 이해할 수 없어 우왕좌왕한다. 후원자의 아름다운 꿈을 망쳐 버린 언니, 언니는 왜 후원금을 거절하고 도망쳐버렸을까? 해민이는 언니를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걱정하고 그리워한다. 그리고 언니와 함께 했던 일들을 하나둘 되새기던 중 차츰 언니를 이해하게 된다. 언니가 끝까지 지키고 싶었던 꿈과 자존심이 얼마나 중요한 것이었는지도. 그래서 마침내 언니가 있는 곳을 알아낸 다음에도 해민이는 그냥 언니를 기다리기로 한다. 언니가 자존심이란 놈을 찾아올 때까지, 언젠가 그 자존심을 확실히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