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판 (148*210mm) ㅣ 168쪽 ㅣ 값 9,500원 ㅣ 바람의아이들 펴냄
ISBN 978-89-94475-34-9 ㅣ2013년 3월 15일
말더듬이와 마법
은행나무 공부방에서 펼쳐지는 우리들의 이야기
동화 속에서 아이들이 생활하는 공간은 주로 학교 아니면 집이다. 학교를 배경으로 하면 선생님과 친구들 사이에서 겪는 다양한 이야기를 펼쳐낼 수 있고, 가정에서는 부모와 빚는 갈등이나 형제자매 간의 우애 같은 가족 이야기를 할 수 있으니 학교와 집이 동화의 주요 무대가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그런데 학교와 가정 외의 공간에서 아이들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 걸까? 동네 놀이터, 학원, 교회, 도서관 등에서 아이들은 무엇을 하고 어떤 생각을 하며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을까? 그리고 이 궁금증은 단순한 공간의 문제를 넘어선다. 배경이 달라지면 당연히 이야기도 달라질 테니까 말이다.
한박순우의 『말더듬이와 마법』은 ‘은행나무 공부방’이라는 비영리 공부방을 배경으로 다양한 연령의 아이들이 모여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룬 연작 동화집이다. 대개의 공부방이 그렇듯 은행나무공부방에서도 아주 어린 아이부터 한글 교실에 다니는 아주머니들, 아이들을 보살펴주는 교사들까지 모여 지내고 있어 이곳의 아이들에게는 또래 문화를 넘어선 새로운 인간관계가 펼쳐진다. 흡사 오래전 여러 연령대의 아이들이 함께 어울려 놀고 일하고, 어른들과 아이들의 삶이 적절히 섞여들었던 마을 공동체와도 비슷한 것이다. 그래서 고등학생 오빠를 짝사랑하는 초등학생이 사랑을 통해 자기 자신을 돌아보기도 하고(「착각의 여왕」), 늦된 초등학생과 모범생 중학생이 마음을 터놓고 교류하며 성장해 나가기도 한다(「말더듬이와 마법」).
특히, 공부방이라는 공간 자체가 사회문화적 비주류의 정서를 담고 있어서인지 이곳 아이들 사이에 보이는 공감지수는 꽤나 높아 보인다. 공부방 동생의 절도사건을 알게 된 아이가 장난스럽게 헤드락을 거는 장면(「도둑과 거짓말쟁이」)이나 동생들의 떠들썩한 문병으로 성폭행의 고통스러운 상처가 치유될 것임을 암시하는 장면(「노란 수첩」)에서는 또래 친구들이나 형제자매에게서는 얻는 것과는 또 다른 찡한 감동을 얻게 된다. 가족과 친구가 인간관계의 중요한 줄기이기는 하지만 가족 내에서 결핍을 피할 수 없거나 왕따나 학교 폭력 등으로 학교생활이 여의치 않은 아이들에게는 다른 대안이 필요한 것도 분명한 일이다. 그리고 우리는 『말더듬이와 마법』에 실린 네 편의 이야기에서 꼭 학교와 가정이 아니라도 아이들을 보듬어 안아줄 수 있는 공간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하게 된다.
사람과 사람이 어울려 살아가는 진짜 이유
사실 ‘은행나무 공부방’은 한박순우 작가의 전작인 『거지 소녀』에서도 가난한 자매가 의지하는 공부방으로 등장한 적이 있다.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만들어 낸 공간인 만큼 사실적이고 절실하게 묘사된 바 있는데 『말더듬이와 마법』에 이르러서 재등장한 ‘은행나무 공부방’은 어떤 객관적인 현실과는 별개로 제 나름의 세계를 확고하게 구축해낸 것 같다. 그리고 그곳에서 벌어지는 아이들 사이의 다툼이나 오해, 화해와 치유 등은 완벽한 문학적 공간으로서 은행나무 공부방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들이다.
이곳 아이들은 엄마 아빠 중 하나가 없거나 가정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학교에서도 뚱뚱하다거나 말을 더듬는다는 등의 이유로 왕따 경험을 갖고 있다. 일반적인 눈으로 볼 때 불쌍하고 소외된 아이들임이 분명할 텐데, 작품 속에서 이 아이들이 겪고 있는 갈등의 대부분은 불우한 환경 때문이 아니다.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 누군가를 조건 없이 믿어준다는 것, 누군가에게 넉넉히 품을 열어준다는 것 등등 오직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삶의 문제들이 펼쳐지는 것이다. 『말더듬이와 마법』에서 작가는 열악한 경제적, 사회적 배경을 가진 인물들을 은행나무 공부방에 모아놓고는 사회적 배경이 아닌 인물 그 자체에 집중하고 있는 셈인데, 구질구질하고 어두운 환경을 싹 거둬내자 거기에 보이는 것은 아이들 하나하나가 가진 생기와 건강한 삶이다.
물론 은행나무 공부방에 있는 모든 아이들이 마냥 착하고 너그러운 것은 아니다. 불량한 아이들과 어울려 다니며 폭력을 일삼는 아이도 있고,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어른들에게 함부로 대드는 아이도 있다. 그러나 그런 아이들도 어딘가에는 선한 구석을 갖고 개선의 여지를 보이며 그 주위에는 그들을 믿고 기다려주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다. 옆에 있는 사람 덕분에 주저앉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야말로 사람과 사람이 어울려 살아가는 진정한 이유가 아닐까?
이 단편집에서는 여러 연령대의 아이들이 함께 지내는 공간을 그리고 있다 보니 초등학생부터 중학생까지 두루 주인공으로 등장하는데 특히 눈에 띄는 작품은 중학생의 성폭력 피해 사실을 다룬 「노란 수첩」이다. 사춘기 소녀의 데이트 강간 피해 사실을 다루고 있다는 것뿐 아니라 사건 이후의 극복 과정을 치밀하게 따라간다는 점에서 눈여겨볼 만하다. 한없이 고통스럽고 어두운 터널을 빠져나오는 동안 열여섯 살 소녀의 내면 풍경이 아프게 그려진다. 또 한편으로는 글쓰기의 치유 기능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