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편애로 우왕좌왕하는 아이들
『장건우한테 미안합니다』는 사람과 사람이 어떻게 관계를 맺어 나가는가에 대해서, 혹은 본의 아니게 소외시켜 나가는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모든 사람들은 신념, 이상, 가치관 등 마음속에 스스로 정한 잣대를 갖고 있다. 그리고 누군가를 만날 땐 자기도모르게 그 마음의 규칙을 적용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런 마음의 규칙은 과연 얼마나 쓸모가 있는 걸까? 따뜻한 눈길로 사소한 마음의 움직임 하나 놓치지 않고 인간과 관계이 본질이라는 과녁으로 직행할 줄 아는 작가 이경화는 이 작품을 통해서 교사의 역차별 문제르 짚어 낸다. 길지 않은 이 한 편의 동화는 가진 것 많은 아이나 가진 것 없는 아이나 아이들은 다 똑같이 그냥 아이라는 것을 말한다. 누구에게나 있지만 자기에게는 하나뿐인 이름처럼 아이들 하나하나는 다 고유한 인격체라는 것을 넌지시 보여준다. 그리고 김춘수 시인의 싯구절에 빚대어, 관계를 맺는다는 건 그 이름을 불러 준다는 것임을 말한다.
학교생활 우정 관계 편애 편견 선생님의 역할 역차별
경기도 교육청 선정 도서
학교도서관사서협의회가 추천하는 권장 도서
열린어린이 여름방학 권장 도서
어린이문화진흥회 좋은 어린이책 선정 도서
아침독서 추천 도서
어린이도서연구회 권장 도서
이경화 글
1972년 충남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다. 대학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했고, 가게 점원, 판매 사원, 학원 강사 등의 일을 했다. 쓴 책으로는 소년소설 '장건우한테 미안합니다', '진짜가 된 가짜'와 청소년 소설 '나의 그녀', '나', 아동동화 '구원의 여인 김만덕' 등이 있다.